01 BOT(Build-Operate-Transfer Contract) 방식을 설명하고 이와 유사한 방식을 2가지만 쓰시오.
02 지하구조물은 지하수위에서 구조물 밑면까지의 깊이만큼 부력을 받아 건물이 부상하게 되는데, 이것에 대한 방지대책을 2가지 기술하시오.
03 다음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 레이턴스(Laitance):
(2) 크리프(Creep):
04 벽, 기둥 등의 모서리는 손상되기 쉬우므로 별도의 마감재를 감아 대거나 미장면의 모서리를 보호하면서 벽, 기둥을 마무리 하는 보호용 재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05 다음 조건에서 콘크리트 1m3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시멘트, 모래, 자갈의 중량을 산출하시오.
① 단위수량:160kg/m3 ② 물시멘트비:50% ③ 잔골재율:40%
④ 시멘트 비중:3.15 ⑤ 잔골재 비중:2.6 ⑥ 굵은골재 비중:2.6
⑦ 공기량:1%
06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 재료를 2가지만 쓰시오.
07 압밀(Consolidation)과 다짐(Compaction)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08 목구조 횡력 보강부재를 3가지 쓰시오
09 다음 데이터를 네트워크공정표로 작성하고, 각 작업의 여유시간을 구하시오.
10 SPS(Strut as Permanent System) 공법의 특징을 4가지 쓰시오.
11 매스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을 위한 대책을 3가지 쓰시오.
12 다음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 시공줄눈(Construction Joint):
(2) 신축줄눈(Expansion Joint):
13 강구조공사에서 용접부의 비파괴 시험방법의 종류를 3가지 쓰시오.
14 커튼월 조립방식에 의한 분류에서 각 설명에 해당하는 방식을 번호로 쓰시오.
① Stick Wall 방식 ② Window Wall 방식 ③ Unit Wall 방식
(1) 구성 부재 모두가 공장에서 조립된 프리패브(Pre-Fab) 형식으로 창호와 유리, 패널의 일괄발주 방식으로, 이 방식은 업체의 의존도가 높아서 현장상황에 융통성을 발휘하기가 어려움
(2) 구성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연결하여 창틀이 구성되는 형식으로 유리는 현장에서 주로 끼우며, 현장 적응력이 우수하여 공기조절이 가능
(3) 창호와 유리, 패널의 개별발주 방식으로 창호 주변이 패널로 구성됨으로써 창호의 구조가 패널 트러스에 연결할 수 있어서 재료의 사용 효율이 높아 비교적 경제적인 시스템 구성이 가능한 방식
15 강구조에서 메탈터치(Metal Touch)에 대한 용어의 정의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6 기초의 부동침하는 구조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기초의 부동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중 기초구조 부분에 처리할 수 있는 사항을 2가지 기술하시오.
17 입찰방식 중 적격낙찰제도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18 다음 그림은 철근콘크리트조 경비실 건물이다. 주어진 평면도 및 단면도를 보고 C1, G1, G2, S1에 해당되는 부분의 1층과 2층 콘크리트량과 거푸집량을 산출하시오.
단, 1) 기둥 단면 (C1) : 30cm × 30cm 2) 보 단면 (G1, G2) : 30cm × 60cm
3) 슬래브 두께 (S1) : 13cm 4) 층고 : 단면도 참조
단, 단면도에 표기된 1층 바닥선 이하는 계산하지 않는다.
19 다음에 해당되는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를 기재하시오.
(가) 일반 콘크리트 ………………………………… ( ) mm
(나) 무근 콘크리트 ………………………………… ( ) mm
(다) 단면이 큰 콘크리트 ………………………… ( ) mm
20 품질관리 도구 중 특성요인도(Characteristics Diagram)에 대해 설명하시오.
21 재령 28일 콘크리트 표준공시체(Ø150mm × 300mm)에 대한 압축강도시험 결과 파괴하중이 450kN일 때 압축강도 fc(Mpa)를 구하시오.
22 H형강을 사용한 그림과 같은 단순지지 철골보의 최대 처짐(mm)을 구하시오. (단, 철골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23 다음 강재의 구조적 특성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1) SN강:
(2) TMCP강:
24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의 A점의 반력을 구하시오.
25 인장력을 받는 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겹침이음길이는 A급과 B급으로 분류되며, 다음 값 이상, 또한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괄호안에 알맞은 수치를 쓰시오. (단, ld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
(1) A급 이음: ( ) ld (2) B급 이음: ( ) ld
26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W=5kn/m(자중 포함) 경간(Span): 12m
fck=24MPa, fy=400MPa 보통중량콘크리트 사용
※ 개인적으로 자격증 공부하며 참고로 하였던 내용 및 인터넷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실제 문제와 상이할 수 있습니다.
※ 자격증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으나, 문제가 있다면 연락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건축기사]2020년 3회 실기 기출문제 복원 (0) | 2023.09.11 |
---|---|
[건축기사]2020년 2회 실기 기출문제 복원 (0) | 2023.09.08 |
[건축기사]2019년 4회 실기 기출문제 복원 (0) | 2023.09.07 |
[건축기사]2019년 2회 실기 기출문제 복원 (0) | 2023.09.07 |
[건축기사]2019년 1회 실기 기출문제 복원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