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건축기사

[건축기사] 네트워크공정표 작성요령

다크라쿤 2023. 9. 4. 15:05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공정표 용어]

1. LST : Late Start Time
공정이 가장 늦게 시작될 경우의 시점 

2. EST : Early Start Time
공정이 가장 일찍 시작될 경우의 시점

3.LFT : Late Finish Time
공정이 가장 늦게 끝날 경우의 시점 

 

4. EFT : Early FinishTime
공정이 가장 일찍 끝날 경우의 시점 

 

5. TF(전체여유)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전체여유란 전체공사기간을 지연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한 작업이 가질 수 있는 최대여유시간을 말하는데 주공정선 즉, CP는 전체여유를 가질 수 없는 가장 긴 경로입니다.

계산식은 TF=LFT-EFT로서, EST로 시작하고 LFT로 완료할 때 생기는 여유시간입니다.

 

6. FF(자유여유)
자유여유란 후속작업의 가장 빠른 개시시간 즉, EST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한 작업이 가질 수 있는 여유시간입니다.

계산식은 FF=후속작업의 EST- 그 작업의 EFT로서, EST로 작업을 시작하고 후속작업도 EST로 시작할 때 생기는 여유시간입니다.

 

7. DF(간섭여유)
종속여유라고도 하며 후속작업의 가장 빠른 개시시간에는 지연을 초래하지만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지연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한 작업이 가질 수 있는 여유시간입니다.

계산식은 DF= TF-FF 또는 LFT- 후속작업의 EST입니다.

 

 

<EST, EFT, LST, LFT, TF, FF, CP의 계산방법> 

 

[예시문제]

 

[공정표 작성]

[공정표 빈칸채우기]

 

간략히 예시로 건축기사 실기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을 알아보았습니다.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