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건축기사

[건축기사] 알아보기

다크라쿤 2022. 7. 29. 07:47
728x90
반응형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적성이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적성에 맞는일을 선택하기란 쉬운것은 아니기에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나름 진로를 정하고 대학에 들어가 공부하지만 취직이라는 문턱에서 좌절과 후회를 하곤 하지요.

이러한 후회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 자격증을 준비하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오랜 직장생활을 하였지만 필요성을 못느꼈다 이직을 하고나니 다른곳에서 평가하는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느끼고 건축기사 자격증 공부를 시작하여 취득을 하였습니다.

이번글에서는 간단히 건축기사에 대한 저반적인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축기사는 취업에 도움이 되는 자격증으로 인기가 높은 자격증 중 하나일텐데요 관련전공자가 아니면 다소 난이도가 높을 수 있지만 노력하여 공부한다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취득방법>

건축기사 자격시험은 1년에 3회 진행을 하고 있고, 필기는 5과목 객관식 시험, 실기는 필답형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합격기준은 필기는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으로 점수상으로 높은 기준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구조, 법규과목이 다소 난이도가 높은데 과목당 40점이 안되면 평균점수가 60점을 넘더라도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실기는 필답형으로 진행되며 단답, 서술, 계산, 적산, 공정표 등 출제되고 공정표 및 적산문제 가점이 높은 편입니다.

 

<종목별 검정현황>

검정인원 통계상 평균적으로 1년에 30% 정도 합격률로 나타나듯 다른 기사자격시험보다 합격률 면에서 낮은편에 속하는 시험입니다. 통계로 나타나듯 다소 난이도가 있다는 것이기에 공부를 준비하기에 다소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응시자격 기준>

건축기사 응시자격 기준이 있습니다. 관련학과 4년제 대학교 졸업 혹은 2,3년제 전문대 졸업하고 일정기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거나 순수경력 4년이상 보유해야 하며, 기능사 자격취득후 일정기간 경력이 있어야 합니다.

 

 

<건축기사 시험>

시험은 필기와 실기가 1회차에 약 3개월 가량의 시간을 두고 진행되는 만큼 충분한 노력과 준비를 진행한다면 단기간 취득도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다만 출제범위가 방대하여 처음시작하게 되면 우왕좌왕 할 수 밖에 없기도 하지요.

 시험 처음 준비하는 경우는 기출문제를 보면서 어떤방식으로 출제되는지 답은 어떤식으로 작성하는지 등 익히면서 시작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이 오지 않는다라면 처음 시험은 경험이라 생각하고 접수하여 시험을 보는것도 좋은 방법이니 접수비 아까워 하지말고 도전해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