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건설안전기사] 합격을 위한 준비

자격증/건설안전기사

by 다크라쿤 2023. 10. 6. 07:55

본문

728x90
반응형

 

최근 몇 년사이 법 개정이 이루어 지면서 현재 안전과리자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갑작스런 개정에 따라 전문인력의 수요가 갑작스럽게 늘어나게 되면서 대형건설사 위주로 급여가 높아지겍 되면서 중소건설사는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건설과 관련한 근로형태는 다양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앞을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 보여지며, 향후 자신이 추구하는 목적을 위한 자격으로 어느정도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을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이번글에서는 간단히 건설안전기사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설안전기사는 최근 떠오는 자격증으로 인기가 늘어난 자격증 중 하나일텐데요 관련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자격요건을 갖추고 공부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취득방법>

건설안전기사 자격시험은 1년에 3회 진행을 하고 있고, 필기는 6과목 객관식 시험, 실기는 필답형+작업형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합격기준은 필기는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으로 점수상으로 높은 기준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필기과목이 6과목으로 다소 많은편이긴 하지만 공부를 하다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면서 개인적으로 난이도 中 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기는 필답형+작업형으로 진행되며 필답형 60, 작업형 40점으로 분배되어 있습니다.

필답형은 단답, 서술, 계산등 일반적인 이론의 주관식이라고 볼수 있고, 작업형은 컴퓨터를 통하여 작업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 또는 사진을 보여주고 문제에 대한 답을 서술하는 방식입니다.

필답형만으로 이루어진 종목은 1일만 시험에 응시하면 되지만 건설안전기사는 2일의 실기시험을 치러야 채점을 하기에 소요시간이 다소 길어질 수 있습니다.

 

<종목별 검정현황>

 법개정이 바뀌게 된 2020년 이후로 검정인원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응시인원 기준으로 최근 합격률이 약 60%이상이 될정도로 수요에 대한 인원을 충족하기 위한 정책으로 진행하고 있는것인지 모르겠지만은 이러한 추세라면 하루빨리 취득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물론, 통계적으로 60~70%의 합격률이라고 하더라도 쉽다고 볼수 없고, 수험자들이 엄청 많은시간과 노력을 들여 공부하면서 이루어낸 성과이며,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도움이 되고 있을을 알 수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응시자격 기준>

건설안전기사 응시자격 기준이 있습니다. 관련학과 4년제 대학교 졸업 혹은 2,3년제 전문대 졸업하고 일정기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거나 순수경력 4년이상 보유해야 하며, 기능사 자격취득후 일정기간 경력이 있어야 합니다.

 

 

<건설안전기사 시험>

시험은 필기와 실기가 1회차에 약 3개월 가량의 시간을 두고 진행되는 만큼 충분한 노력과 준비를 진행한다면 단기간 취득도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다만 출제범위가 방대하여 처음시작하게 되면 우왕좌왕 할 수 밖에 없기도 하지요.

 시험 처음 준비하는 경우는 기출문제를 보면서 어떤방식으로 출제되는지 답은 어떤식으로 작성하는지 등 익히면서 시작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이 오지 않는다라면 처음 시험은 경험이라 생각하고 접수하여 시험을 보는것도 좋은 방법이니 접수비 아까워 하지말고 도전해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건설안전기사 최종 취득하게 되면 산업안전기사 필기과목 중 건설안전기술, 인간공학과시스템안전공학 2과목을 면제해 주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