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단답형-8

자격증/건축기사

by 다크라쿤 2022. 8. 29. 16:46

본문

728x90
반응형

  BOT방식

민간주도하에 기반시설 공사를 완료한후 일정기간 운영하여 투자금을 회수한뒤 공공에 양도하는 방식

 

■  입찰방식 중 지역제한경쟁입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발주자가 정한 지역내의 업체만 입찰에 참여시키는 제한경쟁입찰의 일종

 

■  공개경쟁입찰

참가자를 공모하여 유자격자를 모두 입찰에 참여 시키는 방식

 

■  지명경쟁입찰

공사에 적격한 3~7개 업자를 선정하여 입찰에 참여시키는 방법

 

■  특명입찰

건축주가 시공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단일 업자를 선정 발주하는 방식

 

■  특명입찰의 장단점

장점 : 입찰수속 간단, 공사보안에 유리

단점 : 부적격 업체선정의 문제, 공사비 결정 불명확

 

■  종합 심사낙찰제도

사회적 책임점수를 포함한 공사수행 능력점수와 입찰금액 점수를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입찰자를 낙찰시키는 제도

 

■  BTL

민간 주도하에 시설물 완공후 발주처에게 소유권을 양도하고 발주처의 시설물 임대료를 통하여 투자비가 회수되는 민감투자사업 계약방식

 

■  CM for Fee

발주자와 하도급업체가 직접계약을 체결하고, CM은 발주자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여 약정된 보수만을 발주자에게 수령하는 형태

 

■  CM at Risk

하도급업체와 CM이 원도급자 입장으로 발주자의 직접계약을 체결하며 공사의 원가, 공정, 품질을 직접 관리하여 CM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형태

 

■  부대입찰제도

발주처에서 하도급 공종별로 금액비율을 미리 정하여 입찰참가자에게 통보하고, 그 비율 이상으로 계약될 하도금계약서를 입찰시 입찰서류에 첨부해서 입찰하는 제도

 

■  대안입찰제도

발주자가 제시한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동등 이상의 기능 및 효과를 가진 공법으로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 등을 내용으로 하는 대안을 도급자가 제시한 제도

 

■  적격낙찰제도 설명

입찰에서 제시한 가격과 기술능력, 공사겨험, 경영상태 등 계약 수행능력을 종합평가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 제도

 

■  성능발주방식

발주자는 설계에서 시공까지 건물의 요구성능만을 제시하고 시공자가 재료나 시공방법을 선택하여 요구성능을 실현하는 방식

 

■  공동도급의 장점

신용 및 융자력 증대, 위험요소의 분산, 기술의 확충, 시공의 확실성

 

■  종합건설제도

종합적인 건설관리만 맡고 부분별 공사는 하청업자에게 넘겨주어 공사를 진행하는 형태를 말한다

 

■  실비청산 보수 가산방식(실비정산 비율보수 가산방식)

건축주와 시공자가 공사실비를 확인정산하고 정해진 보수율에 따라 시공자에게 지급하는 방식

 

■  파트너링 계약방식

발주자가 직접 설계, 시공에 참여하고 사업관련자들이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팀을 구성하여 사업성공과 상호 이익확보를 목표로 사업을 집행관리하는 방식

 

■  VE 정의

발주자가 요구하는 성능, 품질을 보장하면서 최소의 비용으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공사방법

 

■  건설공사 VE사고방식

고정관념을 제거한 자유로운 발상, 사용자(발주자) 중심의 사고, 기능 중심의 시공방식, 조직적이고 순서화된 활동

 

■  LCC 정의

건축물의 초기단계에서 설계,시공,유지관리,해체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과 제비용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